윤리경영 관련 용어 소개 No.55 비정부조직(NGO: Non Governmental Organization) |
|||
---|---|---|---|
![]() |
2025-04-29 10:25:49 | ![]() |
15 |
(정의)
민간인이나 민간단체가 정부의 통제 밖에서 만들어져 활동할 때 이러한 기구나 조직을 비정부조직이라 부른다. 이 가운데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기구나 조직만을 비정부조직(NGO)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적십자사연맹, 국제상공회의소(ICC), 세계노련(勞聯), YMCA, YWCA 등 국제 NGO는 1만7천 여 개로 알려져 있다.
이들 조직이 비록 정부나 기업 등으로부터 보조를 받는 경우에도 설립과 활동이 정부 통제 밖에서 이루어지면 비정부조직이라 한다. 최근에는 공공적 활동에 자발적으로 간여하는 민간조직을 통틀어 말할 때가 많다.
유엔의 글로벌 커뮤니케이션 부에 따르면 NGO는 “공익 지원을 위해 지역이나 국가 또는 국제 수준에서 조직된 비영리 자발적 시민 그룹”을 가리킨다고한다. NGO는 전형적인 비영리조직(NPO; Non Profit Organization)이다.
(연혁)
국제연합(UN) 헌장(1945년) 제71조는 유엔과 협력 관계에 있는 민간조직만을 비정부조직(NGO)으로 불렀다.
처음에는 유엔과 협력 관계에 있는 조직에만 NGO라는 용어가 쓰이다가 현재는 공공적인 활동에 자발적으로 간여하는 민간조직에까지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국제연합 설립 이전에도 국제적인 NGO 운동이 있었다. 18세기 말 현재 노예제 반대나 여성 참정권 운동 등 1,083 개의 ‘국제 NGO’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Oliver P. Richmond 등)
(유사 용어)
NGO는 나라에 따라 시민의 경제적 지원을 받는 ‘시민사회조직’(CSO: Civil Society Organization)과 같은 의미로 쓰이기도 하고, 또 다른 나라들에서는 비영리조직(NPO)과 같은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NGO는 그 단체가 무얼 하느냐에 따라 ‘인권 단체’, ‘소비자보호 단체’, ‘환경 단체’ 등으로 나뉘기도 하고 활동 범위에 따라서는 지방, 지역, 전국, 국제적 기구로 나뉘기도 한다.
(활동)
NGO들은 자연 재해 등 각종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의 생활 개선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기업들이 사회공헌 활동을 할 때 이들 NGO와 제휴하여 성과를 올릴 때가 많고 NGO들도 사회공헌 활동을 할 때 기업으로부터 경제적 지원 등을 받을 때가 많다.
(NGO의 강점)
사회 공헌 활동을 할 때 NGO의 가장 큰 강점은 사회적 · 경제적 지위가 아주 낮은 서민들의 입장에서 접근할 수 있고 그런 서민들의 입장을 대변할 수 있다는 점이다.
(NGO의 운영)
NGO의 운영은 자원봉사자와 유급직원에 의해 운영된다. 운영 경비는 보통 특정 국가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 또는 독지가의 기부 등으로 충당된다. 캐나다에서 설립된(1971년) 환경운동 관련 그린피스(Greenpeace) 같은 NGO는 어떤 국가의 정부나 정부 간 기구로부터도 재정 지원을 받지 않는다.
NGO의 목적 활동에 예산의 어느 정도를 써야 한다는 규정은 없지만 ‘NGO 세계협회’는 최소한 86% 이상을 배정해야 하며 간접비는 전체의 20% 이하여야 한다고 하고 있다.
(법적 지위)
NGO는 원칙적으로 국내법과 관행의 적용을 받는다. 한국도 ‘비영리민간단체 지원법’(2000년)이 있다. 이 법은 비영리민간단체의 자발적인 활동을 보장하고 건전한 민간단체로 성장하는 것을 지원, 비영리 민간단체의 공익활동 증진과 민주사회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 법에서 말하는 ‘비영리민간단체’는 비영리 공익활동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단체로서 △직접 수혜자가 불특정다수이고, △이익 분배를 않고, △특정 정파 · 종교에 지원을 않고, △구성원이 100인 이상이고, △관계부처 등에 등록을 요구하고 있다.
(기업과의 관계)
기업들이 사회적 책임(CSR) 활동을 할 때 NGO와 파트너로서 성과를 거둘 때가 많다. 마찬가지로 NGO도 사회공헌 활동을 할 때 기업의 도움이 필요할 때가 많다.
반면에 NGO가 기업의 불법행위 등을 견제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NGO는 기업의 중요한 이해관계자(stakeholder)이고 기업이 사회적 책임(CSR)을 수행하는 데 무시할 수 없는 존재이기도 하다.
(정통성에 대한 위협)
NGO의 가장 중요한 자산은 힘센 사람 누구에게도 독립적인 자기 목소리를 낼 수 있을 것이라는 수많은 사람들의 기대다. 그런데 NGO는 외부로부터 재정적 지원이 불가피하다. 이때 그 지원을 준 사람들의 기대를 전적으로 무시할 수 없는 내재적 한계가 있다. 그 한계가 있는 만치 정통성(legitimacy)에 대한 위협이 뒤따르기 마련이다.
(사)한국기업윤리경영연구원 자문교수실
이전글 | | 윤리경영 관련 국내외 동향 (25년 4월) |
다음글 | | 윤리경영 관련 국내외 동향 (25년 3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