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리경영 관련 용어 소개 No.58 Business Integrity(기업의 무결성, 無缺性) |
|||
---|---|---|---|
![]() |
2025-07-29 16:50:09 | ![]() |
23 |
(정의)
기업이 갖추어야 할 고결 · 성실 · 정직 · 완전성, 즉 무결성(無缺性)을 말한다. 본래 인간 개개인이 지녀야 할 윤리적 개념인데 최근 들어 기업 경영에 갖추어야 할 윤리적 자세나 법령 준수 등을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연혁)
최근 들어 기업의 부정 · 비리가 세상에 드러나 사회로부터 신용이 실추되어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입는 경우가 많아졌다.
그 중에는 꼭 법령 위반만 있는 것이 아니어서 기업은 법령뿐만 아니라 사회 규범이나 기업 윤리 등을 포함한 넒은 의미의 컴플라이언스 구현도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한 기본적 이념이 바로 Business Integrity이다.
(Integrity가 기업에 왜 중요한가)
세계 경제에 ESG 경영은 이제 보편적 룰로 자리 잡았다. 환경(E)이나 사회(S), 지배구조(G)에서 요구되는 룰이 법령에 의한 것만이 아니다. 윤리적 요구도 많다. 그래서 기업은 모든 면에 무결성(無缺性)을 요구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중요한 실례로 매년 시상하고 있는 에티스피어(Ethisphere) 윤리기업상 2021년 수상 기업들은 2021년 1월까지 5년 동안 주가지수에서 7.1%p 앞선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뭘 보면 기업의 무결성을 알 수 있나)
최고 경영진(C-Suite)이야 말로 기업의 일거수일투족을 대표한다. 이들의 면모나 행동 및 태도가 이해관계자(stakeholders)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해당 기업의 무결성 판단의 중요한 단서로 작용할 수 있다.
(무결성이 가져다주는 기업의 이익)
① 긍정적인 기업 문화
경영진으로부터 내려오는 윤리적 행동은 온 조직에 긍정적 기업 문화로 채워 기업의 전체적인 활동에 이익을 가져다준다.
② 인재 확보의 용이
이런 양심적인 기업에 원하는 인재가 몰려오고 오래 근무하게 된다.
③ 고객과의 더 좋은 관계 유지
고객들은 기업이 완전하고 믿을 만하다고 생각되면 그 기업에 더 호감을 갖기 마련이다. 기업 컨설턴트 Accenture에 따르면 미국 고객의 64%가 회사의 윤리적 가치와 진정성을 보고 구매 결정을 한다고 한다.
④ 컴플라이언스 위험의 감소
사람과 같이 기업도 양심적으로 행동하다 보면 자연히 사고를 낼 위험이 줄어든다.
⑤ 기업 실적의 개선
호감을 갖는 고객이 늘어날수록 자연히 기업의 실적도 올라가기 마련이다.
⑥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완수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 세계에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기업의 설 땅이 없다.
⑦ 공급망에 더욱 튼튼한 관계 구축
⑧ 주주 · 고객 등 이해관계자(stakeholder)와의 관계 개선
(기업의 무결성을 향상시키려면)
무엇보다 먼저 기업의 무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결성(integrity)이 무엇을 뜻하는 가에 대한 개념의 이해가 중요하다. 그 다음 ESG(환경 · 사회 · 지배형태)와 CSR(기업의 사회적 책임), 그리고 GRC(거번넌스 · 리스크 · 컴플라이언스) 전략과 연계하여 우선순위를 설정해 진전시켜야 한다.
(무결성은 이제 기업 생존의 필요 조건)
기업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해 나가기 위해서는 무결성을 높여가는 경영이 불가결하므로 기업의 무결성은 도덕이나 예절 같은 관련적 개념이 아니고 기업의 존속에 필요불가결한 조건으로 되어 있다.
즉 경영자 스스로가 무결성을 높여가는 것은 물론, 이를 조직 내에 침투시켜 실효성 높게 실천하는 것이 기업 경영의 중요한 과제의 하나라 할 수 있다.
(사)한국기업윤리경영연구원 자문교수실
이전글 | | 윤리경영 관련 국내외 동향 (25년 7월) |
다음글 | | 윤리경영 관련 국내외 동향 (25년 6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