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정보광장

윤리경영 이모저모

윤리경영 관련 용어 소개 No.60 투명성(Transparency)

등록일 2025-09-29 14:18:04 조회수 128

(정의)

 

투명성(transparency)이란 일반적으로 투과성(透過性)을 의미하는 말이다. 물체의 반대쪽이나 내부에 있는 것들이 바로 앞에 있는 것처럼 잘 보이는 것을 말한다, 

 

최근 들어 정부나 기업의 투명성이라는 의미로 주로 쓰이고 있다. 따라서 기업의 정보 공개나 설명책임(accountability)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개념이다.

 

 

(연혁) 

 

본래 기업의 투명성 개념은 기업이 주주 등 이해관계자에 기업의 활동 상황을 설명할 책임(Accountability)에서 비롯되었다가 1966년 미국에서 정보자유법(FOIA: Freedom of Information Act)이 제정되어 공공정보 공개의 초석이 되었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1970년대부터 1980년대에 걸쳐 공공정보의 공개(Disclosure), 설명책임(Accountability)과 함께 투명성(Transparency)이 강조되어 왔다.

 

기업도 마찬가지로 주주 등 이해관계자(직원, 고객 등)로부터 신뢰를 얻기 위해 사업활동이나 방침 등에 대한 설명책임이 요구됨으로써 그 설명 내용의 진실 · 공정성을 담보하기 위한 투명성은 논리적 전제가 되었다.

 

 

(기업의 노력)

 

최근 들어 각국의 기업들은 투명성 높은 경영을 과시하기 위해 직접적인 영리 활동 이외에 환경 보고서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 실천 상황 등에 대한 정보 공개나 설명책임을 하는 데도 있다. 

 

그러나 기업의 대처가 일방통행적인 정보 공개에 그쳐 자기 회사의 이익에 반하는 정보는 차단되는 등 주주 등 이해관계자의 충분한 이해를 얻지 못하는 한계도 있어왔다.

 

 

(기업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상법 규정)

 

△ 회계장부의 10년간 보존 및 주주의 열람 청구권(상법 제447조)
△ 재무제표의 작성 및 승인(상법 제447조의 2)
△ 외부감사 제도

△ 이사의 충실 의무와 선량한 관리자의 의무(상법 382조의 3)
△ 이사의 자기 거래 제한(상법 제398조)
△ 이사 · 감사의 책임 및 주주의 대표소송 제도
△ 감사 및 감사위원회 제도
△ 소수주주권 및 주주에 주요 안건 자료 제공 등

 

 

(최근 미국의 동향)

 

2013년 미국 정보기관이 사인의 개인 정보를 불법 검열 하는 일들을 폭로한 스노든 사건을 전후하여 구글, 트위터, 마이크로소프트, 애플, 페이스북 등이 잇따라 기업의 투명성 보고(transparency report)를 해오고 있다.

 

구글의 최근 투명성 보고서에는 정부의 데이터 요청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사)한국기업윤리경영연구원 자문교수실

목록

WHY케이휘슬인가?

케이휘슬은 비영리단체인 사단법인 한국기업윤리경영연구원이 투명한 사회를 바라는 노력의 산물입니다.

  • 박사급 자문단의 자문과 연구원의 오랜 노하우에 의해 개발된 특허기술로 케이휘슬은 운영됩니다.

케이휘슬 플랫폼의 핵심은 완벽한 익명성 보장입니다. 2중의 방화벽과 평문 암호화 기술(256비트 이상)을 통해 안심하고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통해 최고의 컴플라이언스 플랫폼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TOP

케이레터 신청하기

케이레터 신청하기

이름

이메일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 동의서(선택)

- 수집 및 이용 목적 : 케이휘슬 뉴스레터 정기구독
- 수집항목 : 이름, 이메일
- 보유기간 : 신청자의 해지 요청시까지
- 동의거부권리 : 동의 거부 권리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을 원하지 않을 경우 전화 또는 이메일을 통해 수신을 거부할 수 있으며, 수신 거부 시 발송을 중단합니다. 개인정보보호법 제15조에 따라 위 각호 사항을 고지받고 개인정보 처리에 동의합니다.